당신이 모르는 이슈 7

김앤장 서석호 변호사 프로필 윤석열 서울대 법대 79학번 동기 (+고향 학력 조희대)

삼색이냥 2025. 5. 6. 13:20
300x250

집단소송 및 M&A 전문가로 법률구조재단 이사장인 전 대통령 윤석열 서울대 법대 79학번 동기 김앤장 서석호 변호사 프로필 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서울대 법대 출신의 첫 대통령으로 그동안 이회창, 이인제, 이낙연 등 선배들이 이루지 못한 대통령의 꿈을 이루었는데요. 1979년에 입학해서 1983년에 졸업한 서울법대 37회 동기들이 석동현 변호사를 비롯해서 남기춘 , 공상훈, 손기호, 임시규 변호사, 장덕순 변호사, 이동호 변호사, 주완 변호사, 최승욱 변호사, 이은재 변호사, 이완규 변호사 등입니다.

서석호 변호사 프로필 

서석호 변호사 고향 대구

생년월일 1960년 9월 8일 (서석호 변호사 나이 64세)

학력 경북고등학교, 서울대 법대, 서울대 법대 대학원 법학박사과정 

뉴욕 University School of Law (LL.M., Taxation, 2002)

뉴욕 University School of Law (LL.M., Corporation Law, 2001)

University of 워싱턴 - Joint Degree Program with Yonsei University (MBA, 2000)

군대 육군 군법무관 1985~1988

사법시험 24회 

사법연수원 14기 수료 

미국 뉴욕주 변호사 

대법원 제2기 양형위원회 위원 

김앤장 서석호 변호사 프로필
김앤장 서석호 변호사 프로필

 

김앤장 서석호 변호사 A to Z 

대구가 고향으로 경북고등학교를 나와서 서울대학교 법대 79학번인 서석호 변호사는 윤석열 대통령과 법대 시절부터 친구로 지낸 5인방 중 한명입니다. 5인방 중 한명인 서울 홍대부고 출신 남기춘 변호사는 검사시절 조양은 김태촌 등 조폭을 구속한 것으로 살아 있는 권력보다 살아 있는 재벌이 더 무섭다는 말을 남기고 검찰을 떠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서울 배문고 이동호 변호사, 삼성그룹 부사장 출신 표주영, 그리고 대구 경북고 서석호 변호사 등이 5인방으로 꼽히는데요. 남기춘 검사장과 서석호 김앤장 변호사는 사석에서도 조언을 구할 정도로 대표적인 윤석열 인맥 중 한 명입니다. 여담으로 대학교 시절에는 지금과 다르게 윤석열은 동기들과 굉장히 친하게 지냈다고 합니다. 

 

서석호 변호사는 서울대 재학 중인 1982년 사시 24회에 합격했는데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은 1차에는 함께 합격했지만 이후 9년 동안 2차에 합격하지 못하다가 1991년에 합격해서 서울대법대 동기지만 사시 9년 선배입니다. 서석호 변호사는 사시 학격 이후 M&A 전문가로 주로 활동했고 이를 위해서 뉴욕주 변호사 자격까지 갖고 있는 기업 전문 변호사 입니다. 

서석호 변호사 경력

728x90

대한변호사협회 법률구조재단 이사장 (2023-현재)

대한장애인체육회 감사 (2016-2020)

행정안전부 상벌심사위원 (2016-2020)

행정안전부 주민감사청구심의위원회 위원장 (2015-2019)

환경부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 (2015-2018)

서울지방변호사회 준법지원인 연수원장 (2015-현재)

법무부 변호사제도개선위원회 위원 (2011-2015)

서울지방변호사회 정책자문위원 (2011-2012)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창회 부회장 (2011-현재)

변호사시험관리위원회 위원 (2010-2012)

대한변호사협회 전문분야등록심사위원회 위원 (2010-2016)

대한변호사협회 법제이사 (2009-2011)

대법원 양형기준위원회 위원 (2009-2011)

대법원 “사법”지 편집위원 (2009-현재)

법무부 사법시험관리위원회 위원 (2009-2012)

법무부 법교육위원회 위원 (2009-2012)

김·장 법률사무소 (2008-현재)

서울중앙지방법원 조정위원 (2006-2015)

서울고등검찰청 항고심사위원 (2006-2022)

법무법인 바른 (2006-2008)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감사(국무총리실) (2005-2007)

국민연금기금 의결권행사 자문위원(보건복지부) (2005-2007)

지방세 심의위원(행자부) (2005-2007)

명지대학교 부교수(상법) (2005-2007)

채권금융기관조정위원회 위원(재경부) (2005-2007)

세제발전심의위원회 위원(재경부) (2005-2009)

보험전문인시험관리위원회 위원(금감원) (2005-2010)

기업정책위원회 위원(전경련) (2005-2008)

세무사 징계위원회 위원(재경부) (2005-2007)

국민연금 심사위원회 위원(보건복지부) (2005-2007)

SKC 사외이사 (2005-2017)

대한변호사협회 재무이사 (2005-2007)

사법연수원 형사변호사실무 외래 교수 (2004-2008)

서맥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 (2002-2006)

삼일회계법인 고문변호사 (2002-2010)

회명합동법률사무소 설립운영 (1995-1999)

미국 뉴욕주 변호사 (2001)

육군법무관 (1985-1988) 

사법연수원 14기 

사법시험 24기

경북고등학교 | 서울대 법대 | 서울대 법대 대학원 

 

서석호 변호사는 M&A 등 경제 분야 관련 준문가로 대형 로펌 중 하나인 김&장 변호사로도 활동했습니다. 2012년 경에는 중소기업 등의 M&A 자문단으로도 무료 봉사 하기도 했습니다. 

서석호 변호사 조희대 대법원장 

최근 더불어 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조희대 대법원장 전원합의체 유죄 판결 이후 주목받고 있는데요. 국정원 출신의 모 국회의원의 소설 주인공으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김앤장 서석호 변호사는 M&A 등 경제 분야 전문가인데 갑자기 정치 쪽에서 주목하는 재미있는 일이 발생했네요. 

 

잘못된 윤석열 비상계엄 이후 국민의힘 - 더불어 민주당 간의 카더라 통신이 최근 극에 달했는데요. 사법의 기초만 알아도 말도 안되는 이야기입니다. 극우나 극좌가 진실이라고 믿는 분들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전원합의체란 헌법재판소가 헌법재판관 9명으로 판단한다면 대법원은 대법관 12명이 합의해서 판결하는 제도로 특정인물의 의견은 있을 수 있으나 다수결로 판단하는 제도 입니다. 

 

일부 말도 안되는 6만쪽에 달하는 기록을 읽었느냐는 소설을 쓰는데 판사가 지금까지 판례를 읽으면서 판결을 한다고 하면 애초에 윤석열 탄핵하는데도 몇 달은 더 걸리는 일입니다. 잘못된 비상계엄을 한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되었듯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여부도 어디까지나 대법관들의 다수결에 의해서 정해진 것으로 지나친 소설은 눈살을 찌푸리게 하네요. 

 

조희대 대법원장은 재판장으로서 소부에서의 개별 대법관들의 판단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전원합의체 재판장은 선고 시 주문을 낭독하고 변론을 열 때 재판을 진행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다만 일반 국민들이 이런 사실을 모른다는 이유로 윤석열 탄핵 당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극우의 공격을 받았듯 조희대 대법원장 또한 똑같이 극좌의 비난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이재명 공판기일
이재명 공판기일

사법카르텔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고 하는데 이재명 민주당 후보도 사법연수원 18기로 사시 28회 출신의 변호사입니다. 대법관 기수를 보면 노태악 대법관 (사시 26회 사법연수원), 이흥구 대법관 (사시 32회, ), 천대엽 대법관 (사시 30회), 오경미 대법관 (사시 35회), 오석준 대법관(사시 29회). 서경환 대법관(사시 30회). 권영준 대법관 (사시 35회), 엄상필 대법관 (사시 33회), 신숙희 대법관 (사시 35회), 노경필 대법관 (사시 33회), 박영재 대법관 (사시 32회), 이숙연 대법관 (사시 36회), 마용주 대법관 (사시 33회) 등입니다. 

 

기수 차이나 나이 차이가 심해서 서울대 79학번인 서석호 변호사와는 거리가 굉장히 멉니다. 여기서 잘 모르는 사실을 알려드리면 대법관은 20년 이상 판사, 검사, 변호사 등으로 일해야 하며 45세 이상으로 정년이 70세로 6년 임기에 중임이 불가능 합니다. 따라서 2025년 지금은 대부분 30기 이후의 대법관들로 기수 차이가 대부분 심합니다. 

 

조희대 대법원장이 사법연수원 13기(사시 23기)라는 이유로 같은 경북고등학교 출신인 서석호 변호사가 주목받고 있는데 1957년생이라 1960년생인 서석호 변호사와는 엮는 것은 재밌는 상상이라고 봅니다. 거기에 1986년부터 판사 생활을 한 조희대 대법원장과 달리 서석호 김앤장 변호사는 변호사로 경제분야를 주로 담당해서 분야 자체도 전혀 다릅니다. 

 

6 3 대통령 선거
6 3 대통령 선거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윤석열 탄핵 당시 비판을 받았듯 지금은 조희대 대법원장을 비롯해서 주변 인물들에 관한 소설들이 또 난무하는데요. 적어도 국회의원이나 주요 언론들이 이런 소설에 가담한다는 자체가 정말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소설을 쓸거면 기왕이면 재밌게 써 주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오래 전 일이라 다들 잊고 있는 것 같은데 조희대 대법원장은 엄연히 말하면 윤석열 대통령의 1순위 대법원장이 아닙니다. 이균용 부장판사가 대법원장으로 지명받았다가 거부되서 임명된 것입니다. 지금 와서 갑자기 친분을 이야기하는 건 당황스러운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박찬대 국회의원 프로필 회계사 ~ 더불어 민주당 원내대표 선거이력 수상 재산 가족 고향 의정활

회계사 출신으로 더불어 민주당 원내대표 박찬대 국회의원 정치 스토리 입니다. 더불어 민주당 박찬대 의원은 대한민국의 회계사, 교수 출신 정치인으로 대학생 시절, 전두환 정부, 6월 민주항

johigashi777.tistory.com

누가 대통령이 될지 모르겠지만 더 이상 카더라 통신보다 개헌과 대한민국 경제를 살릴 인물을 선택해야 할 6 3 대통령 선거라고 생각됩니다. 국회의원들이 몰라서 이런 카더라를 하지는 않을 겁니다. 선동식 정치에 속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조희대 대법원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