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모르는 이슈 7

배우 최정우 별세 명복을 ... | 탤런트 최정우 프로필 필모그래피 수상 작품활동

삼색이냥 2025. 5. 27. 18:44
300x250

1957년생으로, 연극·드라마·영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50년 가까이 활약해온 대한민국 대표 중견 배우 최정우 입니다. 따뜻한 부성애부터 냉철한 악역까지 폭넓은 연기로 사랑받았습는데  2025년 5월 27일, 향년 68세(또는 69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소속사 블레스이엔티와 유족 측에 따르면, 최정우는 이날 갑작스럽게 별세했으며, 정확한 사망 원인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평소 우울증과 공황장애 등 지병으로 힘들어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먼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배우 최정우 프로필 

영어이름 Choi Jung-woo | 한자이름 崔廷宇
생년월일 1957년 2월 17일 (최정우 나ㅣ 향년 68세)
고향 대한민국 | 국적 대한민국
키 175cm | 몸무게 70kg | 종교 개신교 | 
소속사 블레스이엔티
가족 배우자(이혼 2번 후 재혼), 자녀 미공개
데뷔 1975년 연극 ‘어느 배우의 생애’

탤런트 최정우 프로필 필모그래피 수상 작품활동
탤런트 최정우 프로필 필모그래피 수상 작품활동

 

배우 최정우 작품활동 A - Z

어린 시절 어머니의 사업 실패로 산동네로 이사해 할머니와 함께 어려운 환경에서 성장했습니다. 이른 나이에 우울증과 공황장애, 실어증까지 겪으며 힘든 시기를 보냈으나, 고등학교 시절 담임 선생님의 권유로 연극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심리 치료 차원에서 연극 무대에 올랐던 그는 배역에 몰입하며 마음의 상처를 치유받았고 연기의 매력에 빠졌습니다.

 

1975년 고교생 시절 연극 ‘어느 배우의 생애’로 데뷔한 뒤 극단 신시 등에서 연기 내공을 쌓았고, 1980년에는 동양방송 성우로도 활동하며 연기 스펙트럼을 넓혔습니다. 1992년에는 연극 ‘불 좀 꺼주세요’를 직접 제작·주연해 3년간 30만 관객을 동원하는 등 연극계에서도 큰 족적을 남겼습니다. 이후 연극 무대,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며 대중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1980년 동양방송 성우로도 활동을 했으며 드라마 ‘찬란한 유산’, ‘내 딸 서영이’, ‘신의 퀴즈’ 시리즈, ‘이산’, ‘연애시대’, ‘뿌리깊은 나무’, ‘주군의 태양’, ‘닥터 이방인’, ‘아이가 다섯’, ‘푸른 바다의 전설’, ‘옥씨부인전’, ‘수상한 그녀’ 등에서 주인공의 아버지, 회장, 선생님 등 다양한 역할로 존재감을 드러냈습니다.

 

그 외에도 영화 ‘투캅스’, ‘공공의 적 2’, ‘친절한 금자씨’, ‘추격자’, ‘마녀’, ‘비공식작전’, ‘더 문’, ‘귀공자’ 등에서는 중후한 카리스마와 인간미를 오가는 연기로 극의 몰입도를 높였습니다. 특히 ‘신의 퀴즈’ 장규태 역, ‘찬란한 유산’ 박태수 역, ‘옥씨부인전’ 노교수 역 등은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최근까지도 ‘수상한 그녀’, ‘비밀사이’ 등에서 활약하며 꾸준히 대중과 소통해왔습니다.

 

특히 드라마 '주군의 태양', '찬란한 유산', '내 딸 서영이', '옥씨부인전' 등에서 비서실장, 경찰 간부, 재벌 회장 등 중후하고 무게감 있는 역할로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최근에는 JTBC '옥씨부인전'에서 박준기 역을 맡아 선 굵은 연기를 선보였고, KBS 2TV '수상한 그녀' 등에도 출연했습니다.

 

두 번의 이혼 후 재혼해 가족을 이루었습니다. 결혼과 가족에 대한 자세한 공개 정보는 많지 않으나, 오랜 연기 인생을 함께한 가족의 지지 속에서 배우로서 연극, 드라마, 영화, 예능, 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무대에서 활동을 이어왔습니다.

탤런트 최정우 수상 이력 

728x90

1990년 서울연극제 대상
1999년 동아연극상 연기상

배우 최정우 필모그래피 

드라마 출연작: 찬란한 유산(2009), 뿌리깊은 나무(2011),  주군의 태양(2013), 옥씨부인전(2024), 수상한 그녀(2025), 비밀사이(2025) 등 

더보기

따뜻한 남쪽나라(1988), 태양인 이제마(2002), 죽도록 사랑해(2003), 서울 1945(2006), 연애시대(2006), 연개소문(2007), 이산(2007), 로비스트(2007), 최강칠우(2008), 바람의 화원(2008), 심야병원(2011), 스탠바이(2012), 신의 퀴즈 시리즈(2012~2018), 내 딸 서영이(2012), 광고천재 이태백(2013), 사랑해서 남주나(2013), 닥터 이방인(2014), 마이 시크릿 호텔(2014), 닥터 프로스트(2014), 불굴의 차여사(2015), 착하지 않은 여자들(2015), 신분을 숨겨라(2015), 애인 있어요(2015), 아이가 다섯(2016), 굿바이 미스터 블랙(2016), 푸른 바다의 전설(2016), 별별 며느리(2017), 이판사판(2017), 같이 살래요(2018), 최고의 이혼(2018), 너 미워! 줄리엣(2019), 초면에 사랑합니다(2019), 태양의 계절(2019), 보좌관2(2019), 영혼수선공(2020), 앨리스(2020), 폭군(2024), 옥씨부인전(2024), 수상한 그녀(2025), 비밀사이(2025) 등

 

영화 출연작: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가지 이유(1996), 투캅스2(1996), 공공의 적2(2005), 친절한 금자씨(2005), 더 문(2023), 비공식작전(2023), 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2024) 등

 

더보기

인디안 썸머(2001), 라이방(2001), 노랑머리2(2001), 쓰리(2002), 연애소설(2002), 바람의 전설(2004), 아랑(2005), 한반도(2006), 천하장사 마돈나(2006),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2006), 쏜다(2007), 수(2007), 우리동네(2007), 추격자(2008), 동거, 동락(2008), 걸스카우트(2008), 아버지와 마리와 나(2008), 마린 보이(2009), 독(2009), 하늘과 바다(2009), 의형제(2010), 그랑프리(2010), 돌이킬 수 없는(2010), 수상한 고객들(2011), 고지전(2011), 연가시(2012), 세계일주(2015), 브이아이피(2017), 마녀(2018), 귀공자(2023),  등

연극 출연작: 

어느 배우의 생애(1975), 쥐덫(1983), 오늘(1999), 이자의 세월(2000), 돼지 비계(2000), 선데이 서울(2004), 눈사람(2005), 필로우맨(2007), 블랙버드(2008),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2010) 등

뮤직비디오 출연작: 홍진영 ‘산다는 건’(2014) 등

배우 최정우 별세

탤런트 최정우 별세
탤런트 최정우 별세

반응형

최정우는 1975년 연극 무대에서 시작해, 1980년대 성우 활동을 거쳐 1990년대 이후 드라마와 영화에서 중견·조연 배우로 활약했습니다. 재벌 회장, 변호사, 아버지, 선생님 등 현실적이고 인간미 넘치는 캐릭터부터, 냉철한 악역까지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며 ‘믿고 보는 배우’로 자리매김던 탤런트 최정우 입니다. 

 

배우 유수빈 프로필 필모그래피 A - Z | 작품활동 수상 형 유수민 감독 이야기 - 깜냥이의 이슈와

‘믿고 보는 신스틸러’로 넷플릭스 준공무원 배우 유수빈은 2016년 영화 ‘커튼콜’로 데뷔해, 드라마 ‘슬기로운 감빵생활’, ‘사랑의 불시착’, ‘스타트업’, ‘약한영웅 Class 1·2’, ‘D.P.

histale.com

 

최근까지도 활발하게 활동하던 중견배우의 갑작스러운 부고에 연예계와 팬들의 애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평생을 연기에 바친 배우로, 다양한 작품과 캐릭터를 통해 한국 대중문화에 깊은 족적을 남긴 것을 기억해 주시길 바랍니다. 빈소는 경기도 김포 우리병원 장례식장 5호실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5월 29일 오전 10시에 진행되며 장지는 수원연화장으로 알려졌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배우 최정우 필모그래피 대표작 옥씨부인전
배우 최정우 필모그래피 대표작 옥씨부인전

* 임성언 남편 이창섭 석정도시개발 결혼 A - Z | 배우 임성언 프로필 필모그래피 수상 작품활동

 

* 70대 백만 유튜버 밀라논나 A to Z | 디자이너 장명숙 프로필 수상 가족 작품활동

 

* 뮤지컬배우 정민희 프로필 나이 고향 수상 공연 필모그래피

 

* 윤영미 아나운서 남편 황능준 결혼 스토리! (프로필 나이 학력 작품활동)

반응형